감정을 찍는 시선

소피랏 무앙큼

몸으로 말하고, 감정으로 기록하는 사진가.
소통과 해방의 순간을 렌즈에 담는 예술가
.

소피랏 무앙큼

사진은 단순히 기억을 기록하는 수단이 아닙니다.
그것은 소리가 없는 일기장과도 같으며, 또한 타인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언어입니다.
우리는 셔터를 누르는 그 순간, 자신과 감정을 해방시킬 수 있습니다.
그렇게 얻어진 사진은 어쩌면 ‘감정의 실험 결과물’이라고도 부를 수 있을 것입니다.

작가 약력 및 경력

소피랏 무앙큼 (Sophirat Muangkum, 1983)
태국 방콕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사진작가

소피랏 무앙큼은 독학으로 사진을 배운 작가로, 현재 태국을 대표하는 누드 사진가 중 한 사람이다.
그녀는 독일에서 약 3년간 사진가로 활동한 뒤, 2013년 태국으로 돌아와 작품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며 태국 미술계에서 자신만의 입지를 다졌다.

소피랏의 관심은 인간의 사고와 내면에 있다.
그녀는 사람, 자연, 동물, 서브컬처, 그리고 태국 사회의 현실에서 영감을 얻으며, 매 시기 자신이 느끼는 문제의식과 질문을 사진 작업을 통해 탐구한다.
2019년 이후에는 ‘아티스트 인 레지던스(Artist-in-Residence)’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지역 주민들과 함께 ‘자기 몸에 대한 인식’을 연구하고, 그들의 신체를 통해 정치, 자연, 오염, 서브컬처, 미의 기준 등 사회적 주제를 표현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그녀의 작업은 개인의 몸을 사랑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도록 격려하는 예술적 시도로 평가받는다.

그녀의 작품은 방콕 예술문화센터(BACC), 포토페어 타일랜드(BITEC), 툿영 아트센터(치앙마이), 현대미술관(MOCA, 방콕), 오브젝티프스 센터(싱가포르), 레벨 아트 스페이스(방콕), 이너스페이스(LA, 미국) 등에서 전시되었다. 또한 ‘갤러리 나이트 방콕(Galleries Night Bangkok)’의 주요 참여 작가이기도 하다.

예술가로서의 활동 외에도, 신진 작가들을 발굴하고 소개하는 큐레이터로도 활약하고 있다.
그녀는 ‘파야오 포토그래피 비엔날레 2021–2022’와 ‘치앙마이 블룸스 시티 갤러리 2023’의 큐레이터를 맡았으며, 상업 프로젝트와 매거진 작업에도 참여했다.
그녀의 사진은 VOGUE Italia, Thai PBS, Play Magazine Thailand, Zoomaa (노르웨이), KALTBLUT (독일), BOOMER (영국), Blast Magazine Thailand 등에 소개되었고, 다수의 워크숍과 강연에도 초청받았다.

현재 그녀의 작품은 MAIIAM 현대미술관(치앙마이)과 방콕 현대미술관(MOCA Bangkok), 그리고 여러 개인 소장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다.

태국 방콕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사진작가


프로필 (Profile)

2010–2011 : 독일 뮌헨 관광청(Munich Tourist Information) 사진가
2011–2013 : 독일 뮌헨 우버바스(Ueberbass München) 사진가
2013–현재 : 프리랜서 사진가 & 아티스트


개인전 (Solo Exhibitions)

2023.01 – NACKTE WAHRHEIT (HEAD HIGH SECOND FLOOR, 치앙마이)
2021.01 – Live Life In Your Own Skin (The Wall Gallery, 콘깬)
2019.12 – WILD THINGS (Green Lantern Gallery, 방콕)
2019.06 – This is my Body (Maispace, 치앙마이)
2018.02 – The Secret of Skin (MOST Gallery, 방콕)


주요 단체전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23.08 – No Boundaries (West Eden, 방콕)
2023.06 – I’mpulse (6060 Artspace, 방콕)
2023.04 – Memory of Sapue (Ubon Agenda 2.444, 우본랏차타니)
2022.12 – Mango Art Festival (De Siam Antiques, 치앙마이)
2022.12 – Reveal / Occult (ARTCADE, 파야오)
2022.11 – Meet Me at the Horizon (Public View) (333 Gallery, 방콕)
2022.11 – NOW (Patpong Museum, 방콕)
2022.08 – Interpreters (Museum of Contemporary Bangkok)
2022.08 – Flesh Fresh (Labyrinth Café, 방콕)
2022.06 – Touch Me (Head High, 치앙마이)
2022.04 – For Your Pleasure (BACC, 방콕 예술문화센터)
2022.03 – May We Shine (La Luna Gallery, 치앙마이)
2022.02 – Out of the Shell (Dreamer Studio, 방콕)
2021.11 – Invisible Voice (Phayao Photography Biennale 2021–2022)
2021.08 – Phayao Arts & Creative Festival (파야오)
2021.06 – Selfpression (HOP Photo Gallery, 방콕)
2021.01 – Phayaorama (Phayao Rama, 파야오)
2020.12 – Hysteria (Toot Yung Art Center, 치앙마이)
2020.12 – Khon Kaen Manifesto (콘깬)
2020.11 – Under the Skin (Pullman King Power, 방콕)
2020.10 – One to Ten (Joyman Gallery, 방콕)
2020.10 – LUNAR : Luculenus Orbit (Nandha Hotel, 방콕)
2020.02 – Looking Back (Ilford Galerie, 방콕)
2020.01 – The Future is Nakid (Innerspace, LA, 미국)
2019.10 – LUNAR : Luculenus (Ilford Galerie, 방콕)
2019.10 – Art & Party (MOM TRI’s Wok Gallery Kitchen, 푸켓)
2019.07 – Glory the Hero (10×10) (Central World, 방콕)
2019.04 – Candy (Sole Mio, 방콕)
2019.03 – Message in the Body (Festival Du Feminin, 방콕)
2019.01 – Ecopsychology (Objectifs – Centre for Photography and Film, 싱가포르)
2018.12 – Act Twist (A Clay Gallery, 방콕)
2018.05 – Definition of Human./Being./You. (Krung Thai Art Gallery, 방콕)
2017.09 – The State of Innocence (Rebel Art Space, 방콕)
2016.08 – Art is Life, Life is Art (BACC, 방콕 예술문화센터)
2015.05 – A Shade of Green (The Gardens of Dinsor Palace, 방콕)
2015.04 – Kandy (Kandy Restaurant, 촌부리)
2015.03 – 1st Art Night (KU DE TA, 방콕)
2015.02 – Get Physical Pool Party & Perform Arts (Radisson Blu, 방콕)
2014.12 – Summer in the Rain (Dreamer Studio, 방콕)
2014.05 – All About Nude (Midnice Gallery, 방콕)
2013.11 – Photo Fair Thailand (Bitec Bangna, 방콕)
2013.10 – Halloween Street Art Party (Melon Mint, 방콕)


작품 소장처 (Public Collections)

  • 현대미술관 (MOCA, 방콕)
  • 마이암 현대미술관 (MAIIAM Contemporary Art Museum, 치앙마이)

아티스트 인 레지던스 (Artist-in-Residence)

2023.05–08 : Melayu Living (빠따니, 태국)
2023.02 : Head High Second Floor (치앙마이)
2021.11–2022.01 : Artcade (파야오)
2021.03–05 : 치앙마이
2020.12–2021.02 : 콘깬
2019.05–06 : Maispace (치앙마이)


사진집 및 매거진 (Photobook & Zine)

2023 – 《Unlearned History》
2023 – 《Nạy – Mûng》
2021 – 《Live Life In Your Own Skin》
2019 – 《LUNAR : Luculenus》
2019 – 《This is my Body》
2018 – 《The Secret of Skin》
2013 – 《Being Nude is a Natural》


칼럼니스트 (Columnist)

2015–2016 : Play Magazine Thailand – 「Nude Guru」 연재


전시 기획 (Curatorial)

2023.02 – Chiang Mai Blooms City Gallery (Chiang Mai House of Photography, 치앙마이)
2022.05 – Open House Art n Craft & Concert (When Your Life Gives You Lemon, 방콕)
2021.11 – Invisible Voice (Phayao Photography Biennale 2021–2022)
2021.02 – Soul Out (콘깬)
2020.11 – Blast Blue Box 3.0 (방콕)
2019.06 – Blast Blue Box 2.0 (방콕)
2019.04 – Empathy in Parallel (Tanawut Ngamwutthiwong 개인전, 방콕)
2019.02 – Blast Blue Box 1.0 (방콕)
2016–2017 : Art Consulting Thailand 프로젝트 매니저
2014.05 – All About Nude (Midnice Gallery, 방콕)
2013.10 – Halloween Street Art Party (Nude Art) (방콕)


심사위원 활동 (Judging Panel)

2020 : Patpong Museum Photo Contest (방콕)
2018 : TEN AND ONE – Annual Lomography Photo Awards


언론 인터뷰 (Publication & Media)

2022 : D1839 (태국) 인터뷰
2021 : Mirror Thailand (태국)
2019 : Urban Creature / Siam Street Nerds / GURU Magazine (Bangkok Post)
2018 : Lomography / THE MOMENTUM / Globetrotter Magazine (인도네시아)
2016 : BLAST Magazine / Highland Magazine / Mystique Magazine (미국)
2014 : KALTBLUT (독일) / Zoomaa (노르웨이) / Mars Magazine (태국)
2014 : Thai PBS “Silsamosorn” 출연, Nude Documentary Film 참여


주요 게재 매체 (Features)

  • VOGUE Italia – Photo Vogue (2015, 2017)
  • BOOMER Magazine (영국)
  • GURU Magazine (Bangkok Post, 태국)
  • Happening Magazine (태국)
  • Lomography E-Magazine (태국)
  • Globetrotter Magazine (인도네시아)
  • The Momentum (태국)

워크숍 (Workshops)

2021 – Sophirat Photography Walk Thru Exhibition (콘깬)
2019 – If Clothes Wrap the Body, the Skin Wraps the Soul (Festival du Feminin, 방콕)
2016 – All About Nude Workshop (Dreamer Studio, 방콕)
2014 – Fine Art Nude Photography Workshop (방콕, 논타부리, 치앙라이, 롭부리 등)


강연 및 세미나 (Speaker & Lecturer)

2023 – Nudity, Feminism, Women and Photography Movements (West Eden, 방콕)
2023 – Phototelling Talks (Melayu Living, 빠따니)
2023 – The Power and Racial Discrimination in the Art World (BACC, 방콕)
2023 – 초롱콘대학교(Chulalongkorn University) 강사
2022 – 짐톰슨 아트센터(Jim Thompson Art Center) 패널
2022 – KMITL 예술대학 강의
2021 – Queer Bangkok Podcast 게스트
2019 – Festival Du Feminin Bangkok 패널
2018 – World Camera Thailand 강연, Photo Fest by Power Buy 연사
2015 – 찬드라카셈 라자밧대학 / 실파콘대학 초청 강연
2013–2014 – Thailand Photo Fair 세미나 초청

참여작품

이 작품은 내가 처음으로 ‘나의 가족’을 예술 작품의 주제로 선택한 작업이다.
나는 누드 사진 작가로서 보수적인 사회 속에서 매우 섬세하고 민감한 주제를 다루며 살아왔다.
가족은 내가 사랑하는 일을 하는 것을 말리지 않았고, 묵묵히 지켜봐 주었지만, 그 사이에는 여전히 보이지 않는 ‘이해의 거리감’이 존재했다.
그들은 나를 사랑하지만, 내가 어떤 예술을 하고 있는지는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듯했다.

이 사진 시리즈는 세대 간 문화의 전환에 대해 이야기한다.
우리는 모두 과거로부터 배워야 하지만, 동시에 각 세대 역시 서로에게 배워야 한다.
왜냐하면 이제 세상에는 절대적인 ‘옳음’도, ‘그름’도 더 이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람이 변하면, 문화도 함께 변한다.

대표작품

Similar Posts

  • | |

    유별남

    시선을 걷는 사람 유별남 세상의 가장 멀리서, 인간의 가장 깊은 순간을 담는다.그의 사진은 현실을 걷는 시이자, 침묵 속의 이야기다. 유별남 유별남은 히말라야의 고원에서부터 중동의 사막, 아프리카의 오지에 이르기까지 인류의 삶이 닿는 모든 곳을 카메라로 기록해온 다큐멘터리 사진가이다. 그는 사람들이 외면한 장소에서 인간의 존엄과 희망의 조각을 찾아내며, 그 장면들을 깊은 침묵과 서정 속에 담아낸다. 사진은 그에게…

  • | |

    임안나

    불안을 시각화하는 현실의 연극가 임안나 서울 출신의 사진가 임안나 교수는 매스미디어가 유포하는 전쟁과 고통의 이미지를 메타-픽션으로 재구성하며 현실의 불안을 탐구한다. 임안나 이번 ‘팝타이사진’ 전시를 통하여 같은 아시아 지역에서 살아가는 태국의 작가들과 문화 예술 교류의 기회가 마련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저는 몇 차례 태국을 여행한 경험은 있지만 전시회에 함께 참여하여 작가님들을 만나거나 작품들을 직접 보는 일은…

  • |

    권학봉

    경계를 넘어선 시각의 언어 권학봉 그의 사진은 시간의 잔상 위에 남은 인간의 숨결이다.사라진 기억 속에서도 현실의 진실을 포착한다. 권학봉 한국과 태국의 사진작가들이 함께 참여하는 한-태 사진교류전 ‘팝타이사진’에 참여작가로 함께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이번 전시는 한국과 태국의 사진 문화를 교류하고, 양국의 사진 작가들이 협업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입니다. 특히, 한국과 태국의 사진 작가들이 직접 만나서 소통할 수…

  • | |

    성남훈

    휴머니티 다큐멘터리 사진가 성남훈 성남훈은 인간의 존엄과 사회의 상처를 오랜 시간 기록해온 다큐멘터리 사진가이다.그의 사진은 고통 속에서도 피어나는 인간의 희망과 연민을 섬세하게 포착한다. 성남훈 성남훈은 인간의 존엄, 사회적 불평등, 그리고 치유의 과정을 주제로 30여 년간 사진 작업을 이어온 한국의 대표적 다큐멘터리 사진가이다. 프랑스 라포(Rapho) 통신사에서 경력을 쌓은 그는 세계 각지의 전쟁, 난민, 소외된 이들을 기록하며…

  • | |

    권학봉

    시선을 걷는 사람 권학봉 세상의 가장 멀리서, 인간의 가장 깊은 순간을 담는다.그의 사진은 현실을 걷는 시이자, 침묵 속의 이야기다. 권학봉 빛으로 인간의 내면과 사회의 그림자를 기록한다. 다큐멘터리의 시선으로 현실을 응시하고, 예술의 언어로 그 진실을 환기한다. 권학봉은 현실과 기억, 개인과 역사의 경계를 넘나들며 인간 존재의 의미를 묻는다. 그의 사진은 결국 ‘보이지 않는 인간’을 바라보는 시도다. 작가…

  • | |

    수텝 크릿사나바린

    양심적 관찰자 수텝 크릿사나바린 태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다큐멘터리 사진기자이자 환경·인권 이슈에 깊이 천착하는 ‘현장 관찰자’ 세계를 무대로 사회변화를 촉구하는 시각언어의 장인 수텝 크릿사나바린 태국 출신의 사진기자 Suthep Kritsanavarin은 지난 20년 가까이 동남아시아의 환경·사회·인권 현장을 카메라에 담아 왔습니다. 그는 단기 스냅이 아닌 장기간에 걸쳐 현장과 관계를 맺으며 사람·공간·변화의 흐름을 쫓는 방식을 택해 왔으며, 이러한 태도를 통해 얻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