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ang mai Portrait

칸타 푼피팟
치앙마이는 천 년이 넘는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란나 왕국의 중심 도시로,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비옥한 평야와 풍요로운 문화를 품고 있다. 나는 이 도시의 사람들과 일상 속에서 이어져온 예술과 행복의 순간들을 기록하고자 했다. 사진전 《Chiangmai Portrait》 은 그들의 삶을 통해 치앙마이의 변하지 않는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시간이 흘러도 사라지지 않는 이 도시의 매력이 바로 내 작업의 영감이다.

Face of Mongolia이라는 이 작업은, 몽골의 거대하고도 가혹한 자연환경 속에서 가축에 의지하며 살아가는 유목민의 삶을 기록한 사진 프로젝트이다.
이동을 전제로 한 삶은 본질적으로 무소유의 삶과 닿아 있다. 언제든 떠날 수 있어야 하기에, 그들은 자신이 짊어질 수 있는 것만을 소유한다. 그 단순함 속에 깃든 질서와 삶의 태도는 내게 낯설면서도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러한 문화적 조건은 몽골 사람들 특유의 굳센 의지와 당당한 성격을 만들어낸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억지로 ‘성격’을 갖추려 하지 않는다. 우리는 종종 원하는 어떤 성격을 갖기 위해 고민하고, 좌절하고, 다시 시도한다.
그러나 그들에게서 느껴지는 성격은 자연스럽고 당당하게 드러나는 모습 자체였다.
그 점에서 나는 문명사회 속 우리의 불안과 반복되는 실패, 애써 꾸며낸 정체성과 분명한 대조를 보았고, 그 대비에 매료되었다.
작업 방식은 상업사진의 형식을 차용했다. 인공 조명과 디지털 보정을 통해 현대적인 시각 언어를 사용했지만, 피사체는 실제 그들의 삶터에서, 그들이 입고 들고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담았다.

즉, 다큐멘터리의 사실성과 상업사진의 연출성을 결합한 형식으로, 보는 이에게 익숙하면서도 낯선 시선을 유도하고자 했다.
나는 이 작업을 통해 몽골 유목민의 삶이 가진 강인함과, 겉으로 보이지 않는 내면의 자존감이 사진 속에 스며들기를 바랐다.
그들이 살아가는 풍경, 그들이 입은 옷, 손에 쥔 도구들, 얼굴에 맺힌 표정들이 말해주는 이야기를 통해 ‘있는 그대로의 존엄’을 함께 느껴보았으면 한다.

2014년 봄, 권학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