핑크 아이러니

마닛 스리와니촙

태국 현대사진의 상징적 인물.
소비문화와 정치 현실을 풍자적으로 해석하다.

마닛 스리와니촙

방콕 출생의 마닛 스리와니촙은 태국에서 가장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사진작가 중 한 명으로,
소비문화와 정치적 현실, 그리고 사회적 기억을 풍자적으로 탐구하는 작업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대표작 〈핑크맨(Pink Man)〉 시리즈는 화려한 자본주의 사회 속 인간의 욕망과 공허를 유머와 아이러니를 통해 비판적으로 드러내며, 태국 현대사진의 상징적 아이콘이 되었습니다. 그의 작품은 베니스 비엔날레, 퐁피두센터, 퀸즐랜드미술관 등 세계 유수 기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지금도 예술과 사회의 관계를 성찰하는 강렬한 시각언어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작가 약력 및 경력

방콕에서 태어난 마닛 스리와니촙은 태국을 대표하는 현대사진가이자,
국제 미술계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태국 작가 중 한 명입니다.
그의 작품은 〈핑크맨(Pink Man)〉 시리즈로 대표되며,
소비주의 사회와 정치적 현실을 풍자적 시선으로 포착하면서
태국 현대사회의 정체성과 기억을 비판적으로 드러냅니다.
마닛은 베니스 비엔날레(2003), 광주비엔날레(2006), 퐁피두센터(파리, 2010),
아시아퍼시픽트리엔날레(호주, 2009), 포토키(PHOTOQUAI, 파리, 2007) 등
세계 주요 미술 행사에서 작품을 선보였으며,
싱가포르아트뮤지엄(2010), 요코하마미술관(2002), 파리 VU 갤러리(2007)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했습니다.
그의 작품은 프랑스 퐁피두센터, 일본 후쿠오카아시아미술관,
호주 퀸즐랜드미술관, 미국 아시안아트뮤지엄, 싱가포르국립미술관 등
세계 유수 미술관 및 개인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2007년에는 일본 히가시카와 해외사진가상을,
2014년에는 프랑스 문화통신부로부터 예술문화훈장 슈발리에(Chevalier des Arts et Lettres)를 수훈했습니다.
그는 여전히 방콕을 기반으로 작업하며, 예술을 통해 사회와 인간의 관계를 성찰하고 있습니다.

마닛 스리와니촙 (Manit Sriwanichpoom)
1961년 방콕 출생
거주 및 작업지: 방콕, 태국
연락처
주소: 11 Sukhumvit 30, Bangkok 10110, Thailand
전화: +66 (0)8-5199-4050
이메일: manit1961@yahoo.com
/ pinkmanit@gmail.com
학력 (Education)
1984년 방콕 스리나카린위롯대학교(Srinakharinvirot University) 미술학 학사 (B.A. in Visual Art)
개인전 (Selected Solo Exhibitions)
2018 〈Shocking Pink Story〉, Tyler Rollins Fine Art, 뉴욕, 미국
2018 〈LOST〉, A+ Work of Art,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2016 〈FEAR〉, Kathmandu Photo Gallery / H Gallery / Tang Contemporary Art (태국) & Yavuz Gallery (싱가포르)
2010 〈Phenomena & Prophecies〉, Singapore Art Museum, 싱가포르
2008 〈The Lambs of God〉, Centre for Contemporary Photography, 멜버른, 호주
2008 〈Ordinary / Extraordinary〉, Place M, 신주쿠, 도쿄, 일본
2007 〈Man in Pink〉, Galerie VU’, 파리, 프랑스
2006 〈Beijing Pink〉, Highland Gallery, 베이징, 중국
2002 〈Bangkok in Pink〉, The Gallery, 요코하마미술관, 일본
단체전 / 주요 전시 (Selected Exhibitions)
2019 〈Bruised: Art Action & Ecology in Asia〉, RMIT Gallery, 멜버른, 호주
2019 〈Fauna of Mirrors〉, Chennai Photo Biennale, 인도
2018 〈The 7th Xishuangbanna Foto Festival〉, 윈난, 중국
2018 〈Absurdity in Paradise〉, Kasseler Kunstverein, 독일
2018 〈Video Portrait 2.5〉, EMAP2018, 한국
2017 〈Contemporary Ruins〉, KAI 10, 뒤셀도르프, 독일
2016 〈A Great River〉, Xishuangbanna Foto Festival, Jing Hong, 중국
2016 〈Concept Context Contestation〉, 욕야카르타, 인도네시아
2015 〈Thailand Eye〉, Saatchi Gallery, 런던, 영국
2015 〈To Seem and To Be〉, Guate Photo 2015, 과테말라
2015 〈DongGang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한국
2014 〈The Roving Eye〉, ARTER, 이스탄불, 터키
2014 〈Struggles〉, Getxo Photo Festival, 스페인
2014 〈Utopian Days – Freedom〉,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서울, 한국
2012 〈Making History〉, RAY Fotografieprojekte Frankfurt, 독일
2011 〈Cross-Scape〉, ASEAN–Korea Contemporary Media Art Exhibition, 서울, 한국
2010 〈Dreamlands〉, Centre Pompidou, 파리, 프랑스
2010 〈Asia Spectrum〉, Daegu Photo Biennale, 대구, 한국
2010 〈Classic Contemporary〉, Singapore Art Museum, 싱가포르
2009 〈The 6th Asia Pacific Triennial〉, Queensland Art Gallery, 브리즈번, 호주
2009 〈Asia: Exchanging Looks〉, Galerie Zola / Cite du Livre, 엑상프로방스, 프랑스
2009 〈1st Dali International Photography Exhibition〉, 쿤밍, 중국
2008 〈Photo Phnom Penh Festival I〉, 프놈펜, 캄보디아
2007 〈Photoquai – World Visual Arts Biennale〉, Musée du Quai Branly, 파리, 프랑스
2007 〈Las Partes Y El Todo〉, Fundacio Foto Colectania, 바르셀로나, 스페인
2007 〈Festival du Scoop〉, 앙제, 프랑스
2007 〈Act of Faith〉, Noorderlicht Photofestival, 흐로닝언, 네덜란드
2007 〈Asia–Europe Mediations〉, Poznan National Museum, 폴란드
2007 〈Thermocline of Art – New Asian Waves〉, ZKM, 칼스루에, 독일
2007 〈So Close / So Far Away〉, CRAC Alsace, 알트키르히, 프랑스
2006 〈Fever Variations〉, 제6회 광주비엔날레, 한국
2004 〈Resistance〉, Chobi Mela III, 다카, 방글라데시
2003 〈50th La Biennale di Venezia〉, 태국관, 이탈리아
2003 〈Global Details〉, Noorderlicht Photofestival, 흐로닝언, 네덜란드
2001 〈1st China Pingyao International Photography Festival〉, 산시, 중국
2001 〈Quatre de Bangkok〉, PhotoEspaña, 마드리드, 스페인
2001 〈The Promise of Photography〉, DZ Bank / Schirn Kunsthalle, 프랑크푸르트, 독일
2000 〈Images of the World〉, Station, 코펜하겐, 덴마크
1999 〈Cities on the Move〉, Secession, 빈, 오스트리아
1999 〈International Photography Biennale〉, Centro de la Imagen, 멕시코시티, 멕시코
1999 〈The First Fukuoka Asian Art Triennale〉, 후쿠오카, 일본
1998 〈XXIV Bienal International de São Paulo〉, 브라질
1998 〈Asia City〉, The Photographers’ Gallery, 런던, 영국
수상 및 훈장 (Awards & Honours)
2014 프랑스 문화통신부 예술문화훈장 슈발리에 (Chevalier de l’ordre des Arts et des Lettres)
2007 히가시카와 해외사진가상 (Higashikawa Prize), 홋카이도, 일본
소장처 및 커미션 (Collections & Commissions)
Maison Européenne de la Photographie (파리, 프랑스)
DZ Bank (독일)
ABN-AMRO Bank (네덜란드)
Asian Art Museum of San Francisco (미국)
Smith College Museum of Art (미국)
National Gallery of Australia (호주)
Queensland Art Gallery (호주)
H&F Foundation (네덜란드)
Fukuoka Asian Art Museum (일본)
National Gallery Singapore (싱가포르)
Singapore Art Museum (싱가포르)
LASALLE-SIA College of the Arts (싱가포르)
Oslo Foto Kunst Skole (노르웨이)
그리고 다수의 개인 컬렉션

참여작품

서울의 번화한 쇼핑 거리는 세계의 다른 대도시들과 다를 바 없어 보인다. 각국에서 모여든 여행객들이 붐비는 인파 속을 헤치며, 호객의 외침과 상점의 불빛 사이를 스쳐 지나간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거리 맞은편 성형클리닉 앞에서 승려와 비구니들이 탁발함을 볼 수 있다. 서울의 미용 산업, 특히 성형은 아시아에서도 손꼽히게 유명하다. 한국의 젊은이들뿐 아니라, 아름다움과 자신감을 얻기 위해 얼굴에 메스를 대려는 다른 아시아의 젊은 세대들 역시 이곳을 찾아온다.
세속을 버리고 떠난 자들과 세속 속에서 행복을 찾으려는 이들이 한 거리에 함께 서 있는 이 장면은 묘한 대비 속에서 깊은 사유를 불러일으킨다.

대표작품

Similar Posts

  • | |

    성남훈

    휴머니티 다큐멘터리 사진가 성남훈 성남훈은 인간의 존엄과 사회의 상처를 오랜 시간 기록해온 다큐멘터리 사진가이다.그의 사진은 고통 속에서도 피어나는 인간의 희망과 연민을 섬세하게 포착한다. 성남훈 성남훈은 인간의 존엄, 사회적 불평등, 그리고 치유의 과정을 주제로 30여 년간 사진 작업을 이어온 한국의 대표적 다큐멘터리 사진가이다. 프랑스 라포(Rapho) 통신사에서 경력을 쌓은 그는 세계 각지의 전쟁, 난민, 소외된 이들을 기록하며…

  • | |

    임안나

    불안을 시각화하는 현실의 연극가 임안나 서울 출신의 사진가 임안나 교수는 매스미디어가 유포하는 전쟁과 고통의 이미지를 메타-픽션으로 재구성하며 현실의 불안을 탐구한다. 임안나 이번 ‘팝타이사진’ 전시를 통하여 같은 아시아 지역에서 살아가는 태국의 작가들과 문화 예술 교류의 기회가 마련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저는 몇 차례 태국을 여행한 경험은 있지만 전시회에 함께 참여하여 작가님들을 만나거나 작품들을 직접 보는 일은…

  • | |

    유별남

    시선을 걷는 사람 유별남 세상의 가장 멀리서, 인간의 가장 깊은 순간을 담는다.그의 사진은 현실을 걷는 시이자, 침묵 속의 이야기다. 유별남 유별남은 히말라야의 고원에서부터 중동의 사막, 아프리카의 오지에 이르기까지 인류의 삶이 닿는 모든 곳을 카메라로 기록해온 다큐멘터리 사진가이다. 그는 사람들이 외면한 장소에서 인간의 존엄과 희망의 조각을 찾아내며, 그 장면들을 깊은 침묵과 서정 속에 담아낸다. 사진은 그에게…

  • | |

    권학봉

    시선을 걷는 사람 권학봉 세상의 가장 멀리서, 인간의 가장 깊은 순간을 담는다.그의 사진은 현실을 걷는 시이자, 침묵 속의 이야기다. 권학봉 빛으로 인간의 내면과 사회의 그림자를 기록한다. 다큐멘터리의 시선으로 현실을 응시하고, 예술의 언어로 그 진실을 환기한다. 권학봉은 현실과 기억, 개인과 역사의 경계를 넘나들며 인간 존재의 의미를 묻는다. 그의 사진은 결국 ‘보이지 않는 인간’을 바라보는 시도다. 작가…

  • | |

    칸타 푼피팟

    북부 태국의 문화와 일상을 기록하는 시각 역사가 칸타 푼피팟 치앙마이 기반의 사진작가이자 큐레이터, 북부 태국의 삶과 문화를 기록하다.Chiang Mai House of Photography 설립자로, 지역 사진예술의 흐름을 이끌다. 칸타 푼피팟 칸타 푼피팟 교수는 북부 태국 ‘란나’ 문화권의 장인과 거리 풍경을 오랫동안 렌즈에 담아온 사진작가이자 기록자입니다. 그는 치앙마이에 사진문화공간인 Chiang Mai House of Photography를 설립하여 지역 사회와…

  • 제1회 팝타이사진

    제1회 팝타이사진 ‘팝타이사진’은 한국과 태국의 대표 사진작가들이 참여한 첫 한-태 사진교류전으로, 양국의 시선이 교차하는 다섯 개의 시각적 이야기를 담았다. 다큐멘터리와 예술사진을 아우르는 이번 전시는 서로 다른 문화와 현실 속에서 인간과 사회를 바라보는 시선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참여작가 작가와의 대화 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