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부 태국의 문화와 일상을 기록하는 시각 역사가

칸타 푼피팟

치앙마이 기반의 사진작가이자 큐레이터, 북부 태국의 삶과 문화를 기록하다.
Chiang Mai House of Photography 설립자로, 지역 사진예술의 흐름을 이끌다.

칸타 푼피팟

칸타 푼피팟 교수는 북부 태국 ‘란나’ 문화권의 장인과 거리 풍경을 오랫동안 렌즈에 담아온 사진작가이자 기록자입니다. 그는 치앙마이에 사진문화공간인 Chiang Mai House of Photography를 설립하여 지역 사회와 사진예술을 잇는 플랫폼을 만들어 왔습니다. 이번 한-태 사진교류전 ‘PhapthaySajin’에 참여하면서, 그는 한국과 태국의 사진작가들 사이 문화적 대화를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았습니다.

작가 약력 및 경력

칸타 푼피팟은 치앙마이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사진작가이자 큐레이터로, 태국 북부의 문화와 사람들을 오랫동안 기록해왔다.
그는 1983년 미국 Academy of Art College에서 사진학 석사(M.A. in Photography)를 취득했으며, 이후 「Humanity」 시리즈를 시작으로 「Flowers and Figures」, 「Lan Na Desired」, 「Travel」 등 다양한 주제의 전시를 통해 인간과 사회, 그리고 예술의 경계를 탐구해왔다.
또한 치앙마이 하우스 오브 포토그래피(Chiang Mai House of Photography)의 관장으로서 태국 사진예술의 발전과 지역 커뮤니티의 예술적 교류를 선도하고 있다.
그의 최근 주요 작업인 「The Elephant Guardians」는 인간과 자연, 그리고 공존의 의미를 다루며 중국의 여러 국제사진페스티벌에서 주목받았다.

치앙마이주 치앙마이 하우스 오브 포토그래피 관장 (Director of Chiang Mai House of Photography, Chiang Mai Province, Thailand)

학력

  • 미국 Academy of Art College, 사진학 석사(M.A. in Photography), 1983

전시 경력

  • 1984 – 1996 사진전 「Humanity No. 1 & No. 2」
  • 2008 사진전 「Flowers and Figures」
  • 2014 연구 「태국 사회의 예술사진과 포르노그래피에 대한 오해」
  • 2015 사진전 「Lan Na Desired」 (방콕, 태국)
  • 2016 사진전 「Travel」 (치앙마이 반뜩 예술센터, 태국)
  • 2017 중국 남아시아 및 동남아 예술주간 「Chiang Mai Portrait」 칸타 푼피팟 사진전 (위안샤오첸 미술관, 중국)
  • 2018 사진전 「The Elephant Guardians」 (제7회 시쌍반나 국제사진페스티벌, 윈난, 중국)
  • 2022 사진전 「Elephant Guardians」 (제9회 지난 국제사진비엔날레, 중국)

참여작품

치앙마이는 란나 왕국의 중심 도시로, 태국 북부 핑강 유역의 평야지대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곳은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비옥한 분지로, 울창한 숲과 풍요로운 토지가 펼쳐져 있어 농경에 매우 적합한 지역입니다.
이 평야 지대에는 천 년이 넘는 오랜 세월 동안 불교를 신앙으로 삼은 타이족이 거주해 왔으며,
그들은 예술과 문화를 풍요롭게 발전시켜 왔습니다.
단순하고 소박하지만 매력적인 삶의 방식은 이곳을 찾는 이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이러한 이유로 치앙마이는 매혹적이며 탐구할 가치가 있는 도시가 되었고,
그 점이 바로 내가 ‘Chiangmai Portrait’ 사진 작업을 시작하게 된 영감이 되었습니다.
이 작업은 치앙마이에 살고 있는 타이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오랜 세월 이어져 온 예술과 문화 속에서 행복하게 살아가는 삶의 단면을 보여주려는 시도입니다.
이번 전시에 선보이는 사진전 《Chiangmai Portrait》 은 엄선된 57점의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진을 통해 치앙마이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고,
이 도시의 아름다움을 관람객이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기획되었습니다.

이번 전시에 포함된 사진들은 1982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기록해 온 결과물로,
그 기간 동안 치앙마이의 사람들과 일상을 담아왔습니다.
이를 통해 치앙마이가 세월이 흘러도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오랜 전통과 문화, 아름다운 예술적 정서를 여전히 견고하게 지켜오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합니다.
이것이 바로 세월이 지나도 변함없는 치앙마이의 매력이며,
끝없이 탐구하고 싶은 그 도시의 마법 같은 본질입니다.

대표작품

  • Chiang mai Portrait

    Chiang mai Portrait 칸타 푼피팟치앙마이는 천 년이 넘는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란나 왕국의 중심 도시로,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비옥한 평야와 풍요로운 문화를 품고 있다. 나는 이 도시의 사람들과 일상 속에서 이어져온 예술과 행복의 순간들을 기록하고자 했다. 사진전 《Chiangmai Portrait》 은 그들의 삶을 통해 치앙마이의 변하지 않는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시간이 흘러도 사라지지 않는 이 도시의 매력이 바로…

Similar Posts

  • | |

    수텝 크릿사나바린

    양심적 관찰자 수텝 크릿사나바린 태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다큐멘터리 사진기자이자 환경·인권 이슈에 깊이 천착하는 ‘현장 관찰자’ 세계를 무대로 사회변화를 촉구하는 시각언어의 장인 수텝 크릿사나바린 태국 출신의 사진기자 Suthep Kritsanavarin은 지난 20년 가까이 동남아시아의 환경·사회·인권 현장을 카메라에 담아 왔습니다. 그는 단기 스냅이 아닌 장기간에 걸쳐 현장과 관계를 맺으며 사람·공간·변화의 흐름을 쫓는 방식을 택해 왔으며, 이러한 태도를 통해 얻은…

  • | |

    권학봉

    시선을 걷는 사람 권학봉 세상의 가장 멀리서, 인간의 가장 깊은 순간을 담는다.그의 사진은 현실을 걷는 시이자, 침묵 속의 이야기다. 권학봉 빛으로 인간의 내면과 사회의 그림자를 기록한다. 다큐멘터리의 시선으로 현실을 응시하고, 예술의 언어로 그 진실을 환기한다. 권학봉은 현실과 기억, 개인과 역사의 경계를 넘나들며 인간 존재의 의미를 묻는다. 그의 사진은 결국 ‘보이지 않는 인간’을 바라보는 시도다. 작가…

  • | |

    유별남

    시선을 걷는 사람 유별남 세상의 가장 멀리서, 인간의 가장 깊은 순간을 담는다.그의 사진은 현실을 걷는 시이자, 침묵 속의 이야기다. 유별남 유별남은 히말라야의 고원에서부터 중동의 사막, 아프리카의 오지에 이르기까지 인류의 삶이 닿는 모든 곳을 카메라로 기록해온 다큐멘터리 사진가이다. 그는 사람들이 외면한 장소에서 인간의 존엄과 희망의 조각을 찾아내며, 그 장면들을 깊은 침묵과 서정 속에 담아낸다. 사진은 그에게…

  • | |

    김홍희

    빛으로 시대정신을 기록하는 방랑자 김홍희 시대의 감수성을 기록하는 시인이자 사진가.방랑 속에서 인간과 세계의 본질을 포착하는 시선의 연금술사. 김홍희 사진은 세계와의 만남이다.‘PhapthaySajin’전은 새로운 우주와의 조우이다.하나의 완벽한 우주가 또 다른 우주를 만나는 방식이 바로 사진전이다.그런 점에서 ‘PhapthaySajin’전은 우주와 우주의 만남이다.기대와 두려움이 함께 한다.그리고 우리는 이미 모두 충분히 사랑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지금…

  • | |

    임안나

    불안을 시각화하는 현실의 연극가 임안나 서울 출신의 사진가 임안나 교수는 매스미디어가 유포하는 전쟁과 고통의 이미지를 메타-픽션으로 재구성하며 현실의 불안을 탐구한다. 임안나 이번 ‘팝타이사진’ 전시를 통하여 같은 아시아 지역에서 살아가는 태국의 작가들과 문화 예술 교류의 기회가 마련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저는 몇 차례 태국을 여행한 경험은 있지만 전시회에 함께 참여하여 작가님들을 만나거나 작품들을 직접 보는 일은…

  • | |

    소피랏 무앙큼

    감정을 찍는 시선 소피랏 무앙큼 몸으로 말하고, 감정으로 기록하는 사진가.소통과 해방의 순간을 렌즈에 담는 예술가. 소피랏 무앙큼 사진은 단순히 기억을 기록하는 수단이 아닙니다.그것은 소리가 없는 일기장과도 같으며, 또한 타인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언어입니다.우리는 셔터를 누르는 그 순간, 자신과 감정을 해방시킬 수 있습니다.그렇게 얻어진 사진은 어쩌면 ‘감정의 실험 결과물’이라고도 부를 수…